사랑받고 있는데도 왜 자꾸 불안한 걸까?
연애에서 사랑받고 있음을 끊임없이 확인하고 싶다면 ‘불안형 애착’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불안형 애착은 상대의 애정을 지나치게 갈구하면서도, 상대의 행동에 쉽게 상처받아 관계를 어렵게 만든다.
불안형 특징
불안형 애착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상대의 사랑을 끊임없이 확인받고 싶어 한다.” 애정 표현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며, 확인받지 못하면 불안감에 빠지게 된다.
두 번째,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 사소한 일에도 자신이 버림받을까 두려워하며 상대방의 행동 하나하나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세 번째, “질투심과 소유욕이 강하다.” 상대가 다른 사람과 시간을 보내거나 관심을 조금만 소홀히 하면 질투와 불안을 느끼며 갈등을 일으킨다.
네 번째, “지나친 자기 희생을 한다.” 상대를 붙잡기 위해 자신의 필요나 감정을 무시하고 지나치게 희생하거나 맞추려 한다.
불안형 MBTI

불안형 애착을 보이기 쉬운 MBTI 유형으로는 ENFP, ESFP, INFP, ISFP 등 감정적이고 관계 지향적인 유형들이 많다. 이들은 타인의 관심과 애정을 중요하게 생각해 상대의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불안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불안형 연애
불안형 애착 유형은 연애 초반부터 상대방에게 빠르게 깊은 애정을 느끼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버림받을까 봐 불안해진다. 이로 인해 상대방에게 끊임없이 애정 확인을 요구하거나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상대의 작은 행동 하나에도 쉽게 불안해지고, 불안이 커질수록 상대와의 갈등이 잦아진다. 결국 본인은 지치고 상대도 압박감을 느끼며 관계가 점차 어려워질 수 있다.
불안형 궁합

- 불안형 + 안정형 : 가장 이상적인 궁합이다. 안정형은 불안형의 감정적인 요구를 잘 이해하고, 일관된 애정을 제공해 불안감을 감소시켜 준다.
- 불안형 + 혼란형 : 서로 감정적인 불안이 높아 함께 있을 때 극단적인 갈등이 빈번히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불안형 + 회피형 : 서로의 욕구가 정반대라 갈등이 많다. 불안형은 친밀감을 추구하지만, 회피형은 이를 부담스러워해 관계가 지속적으로 갈등 상황에 놓이기 쉽다.
- 불안형 + 불안형 : 서로의 감정적 욕구를 공감할 수는 있지만, 함께할수록 불안감이 커져 관계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불안형 극복 방법
불안형 애착을 극복하려면 자신의 감정을 명확히 인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자신의 불안감을 무조건 상대에게 표현하기보다 스스로 안정감을 찾는 연습이 필요하다. 감정 일기나 상담을 통해 내면의 불안을 정확히 이해하고 다스리는 연습을 해보자.
또한, 스스로 만족하고 행복할 수 있는 취미나 활동을 찾아 자기 충족감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상대방에게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고 균형 잡힌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자신의 애정 표현 방식과 상대에게 기대하는 부분을 명확히 소통하고, 갈등 상황에서는 감정적 반응 대신 침착한 대화를 연습해보자.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내면의 불안감을 근본적으로 해소하는 것도 추천한다.
관계에서 끊임없이 불안하다면 자신을 탓하지 말고, 지금 당장 자신의 애착 유형을 확인해보자. 당신의 사랑이 한층 더 편안해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