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피형 애착유형 특징 4가지(+연애, 궁합, MBTI, 극복방법)

BLOG

회피형 애착유형

연애에서 늘 혼자이고 싶어 하는 마음, 혹시 ‘회피형 애착’ 때문일까?
|
사랑하지만 거리를 두고 싶어지고, 상대방이 가까이 올수록 부담스러운 마음이 든다면 회피형 애착을 의심해봐야 한다. 회피형 애착은 관계에서 거리감을 유지하면서 자신을 보호하려는 특징을 보인다.

정확한 애착유형 테스트 진행하기

회피형 특징

회피형 애착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 “친밀한 감정을 불편해한다.” 가까워질수록 불안과 압박감을 느끼며,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상대방의 감정을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두 번째, “독립성과 개인적 공간을 강하게 요구한다.” 자신의 영역이 침범당한다고 느끼면 강한 거부감을 보이며, 홀로 지내는 시간과 공간을 반드시 확보하려 한다.

세 번째, “감정 표현에 서툴다.” 자신의 진짜 감정을 숨기거나 억누르며, 상대방과 깊은 감정적 교류를 피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네 번째, “갈등을 회피하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인다.” 갈등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반응하기보다는 무관심하거나 침묵을 선택해 문제를 회피한다.

회피형 MBTI

회피형 애착유형 2

회피형 애착을 보이기 쉬운 MBTI 유형으로는 INTJ, ISTP, INTP, ISTJ와 같은 내향적이고 사고 중심의 성향이 강한 유형이 있다. 이 유형들은 개인적 독립성과 자기 영역을 중요하게 여기며, 감정적 친밀함보다는 이성적 거리를 선호한다.

회피형 연애

회피형 유형

회피형은 연애에서 자신의 독립성을 잃지 않으려 노력한다. 초기 연애에서는 친밀함을 받아들이지만, 관계가 깊어질수록 점차 거리를 두며 혼자만의 시간을 더 많이 필요로 한다. 상대가 친밀감을 요구하거나 지나치게 다가오면 부담을 느끼고 회피하거나 멀어진다. 이런 행동은 상대방에게 오해와 상처를 주기도 하며, 결과적으로 관계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또한, 회피형은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하지 않아 상대방이 외로움과 혼란을 느끼기 쉽다. 이런 점에서 상대방이 끊임없이 애정을 확인하려 하거나 불안해질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회피형이 더 큰 부담감을 느끼게 하는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

회피형 궁합

  • 회피형 + 안정형 : 회피형과 가장 잘 어울리는 유형이다. 안정형은 회피형의 독립적이고 개인적인 성향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적절한 거리 유지와 친밀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이상적이다.
  • 회피형 + 혼란형 : 서로의 정반대 성향으로 인해 갈등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혼란형은 친밀감을 강하게 원하지만, 회피형은 이를 부담스러워해 관계 유지가 어려워진다.
  • 회피형 + 회피형 : 두 사람이 독립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서로에게 공간과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서로 깊은 친밀감이나 감정 교류를 회피하기 때문에 깊은 관계로 발전하기는 어렵다.
  • 회피형 + 불안형 : 불안형은 회피형의 거리를 두는 태도를 버림받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불안형이 회피형에게 과도하게 애정을 요구할 경우 회피형은 더 멀어질 가능성이 크다. 관계가 유지되려면 서로의 애착 특성을 이해하고 소통을 늘려야 한다.

회피형 극복 방법

회피형 애착을 극복하려면 자신의 감정을 인정하고 표현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감정 일기나 글쓰기 등을 통해 억눌린 감정을 서서히 드러내고 이해하는 것이 좋다. 상대방과의 관계에서도 무조건적인 거부가 아니라 천천히 감정 교류의 기회를 넓혀가는 연습이 필요하다.

또한, 혼자 해결하려 하지 말고, 솔직하게 상대방에게 자신의 어려움을 털어놓고 이해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혼자 극복하기 어렵다면 상담가의 도움을 받아 감정 표현 능력과 대인관계 기술을 키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연애에서 반복적으로 거리감을 느낀다면, 자신이 회피형 애착인지 돌아보자. 당신이 원하는 진정한 사랑은, 솔직한 감정 표현과 상대와의 진정한 소통 속에 피어날 수 있으니까.

newsletter-banner

Photo of author
HAN

심리 콘텐츠 전문가

INFJ 유형을 지닌 심리 콘텐츠 전문가. 마이어브릭스 성격 유형, Holland Codes, Big Five, DISC 및 심리유형 전문가입니다 오늘도 HAN은 정보의 바다에서 심리학을 뒤져보고 있습니다.

요즘마음 팝업